전자세금계산서 전자문서 유통 서비스 분야 산업의 특성

전자세금계산서 전자문서 유통 서비스 분야 산업의 특성
정부에서도 전자문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에 관한 법률을 손질하고 있는 바, 이에 종이문서의 퇴장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며, 경제적인 영역에서 전자문서의 활용이 본격적으로 도래하였습니다.

특히, 전자세금계산서 제도는 사업자가 세금계산서를 인터넷 또는 전화 등 전자적인 방법으로 발행해 국세청에 전송하는 제도로서, 세원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해 도입하였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관련 시장은 정부법제 및 가이드라인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제도는 전자적 방법으로 세금계산서를 작성·발급(전자서명)하고 그 발급 명세를 국세청에 전송하는 제도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두기 위해 추진하였으며, 시행 연혁과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효과>

내용
내용
납세협력비용 절감
경제성장에 따른 기업 간의 거래가 복잡·다양화되고, 거래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세금계산서를 수동으로 작성·보관 및 신고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절감 노력이 필요
세무거래 투명성 확보
종전 종이세금계산서는 신고 직전 소급발급 등 거짓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방법으로 세금을 탈루하는 사례가 있었음에도 이를 적발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발급 즉시 국세청에 전송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으로 자료상 조기색출 등 세무거래 투명성 확보
경제의 디지털화로 도입여건 성숙
대기업을 중심으로 ERP1) 또는 ASP2) 시스템을 통하여 전자적인 방법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사업자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 시행 연혁>

시행연월
내용
2010.1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
2011.1
법인사업자 발급의무화
2012.1
직전연도 공급가액 10억원 이상 개인사업자 발급의무화
2014.7
직전연도 공급가액 3억원 이상 개인사업자 발급의무화

[ 출처 : 비즈니스온커뮤니케이션 증권신고서 자료중 일부 ]